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어깨 통증은 쉽게 잘 느끼게 되는 통증 중의 하나죠. 그중 어깨 앞쪽이 있는 이두근의 힘줄 부위에서 나타나는 통증의 원인과 우리가 스스로 도울 수 있는 방법, 그리고 기타자극요법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통증의 원인
삼각근이 있는 어깨 앞쪽 부위의 통증은 이두근 힘줄 부위에 생기는 통증이지요. 스트레스가 있거나 과로 상태에 계신 분들에게 생길 수 있습니다. 손으로 작업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나 팔을 무리하게 움직여도, 무거운 거 들어도 생길 수 있고요. 목 자세가 안 좋은데 힘을 빼고 오래 앉아있어도 생길 수 있고, 나이가 들면서 노화로 인해 구조적으로 약해져도 통증이 생길 수 있어요.
이두근이 약한 저질 체질에게는 자주 있는 통증일 수도 있어요. 저질 체질들은 무거운 거 안 들어도 피곤해지면서 팔 자체가 무거워고, 목을 아래고 당기는 형상이 되어 목에서 나오는 신경들이 압박을 받을 수 있거든요.
완산경총(팔신경얼기) 중 근피신경이 눌리면 어깨 삼각근 앞쪽 부위에, 위팔 두 갈래 근 힘줄에 통증이 생길 수 있어요. 아파서 사진을 찍어보면 이두근의 힘줄이 파열되었다는 말을 들을 수도 있어요. 그런데 인대 파열이 부분적으로 있을 때는 통증이 없는 분들도 계셔요, 그래서 일상에 지장이 없으면 인대 파열이 있는지도 모른 채 그냥 그렇게 살지요. 힘줄 파열 자체가 통증을 느끼게 하지는 않는 거 같아요. 그러므로 신경 방사통인 것이죠. 어깨 앞쪽에 찢어지는 느낌은 신경통이고 이와 함께 인대 파열이 생길 수도 있고요. 간혹 찢어지는 느낌과 함께 혈관이 터지는 수도 있어 멍이 드는 수도 있어요.
스스로 도울 수 있는 방법
어깨가 아플 때 먼저는 쉬어야 합니다. 통증은 쉬어달라고 보내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쉬면서 뼈를 지탱하는 속근육, 코어를 관리합니다. 신경이 나오는 뿌리를 알려면 피부분절표가 필요합니다.
피부분절표(dermatome; 신경 경로에 따라 우리 몸을 나눠 놓은 지도
피부분절표(dermatome; 신경 경로에 따라 우리 몸을 나눠 놓은 지도
우리 몸은 신경계가 좌우로 펼쳐져서 우리 몸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우리 몸을 신경 경로를 따라 나눈 것을 피부분절이라고 합니다. C(cervical vertebra)는 경추에서, T( thoracic vertebra)는 흉추에서, L (
ykoykj06.tistory.com
피부분절을 보면 어깨는 경추 5번~경추 7번에서 나오는 신경이 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목에서 나오는 완신경총의 가지 중 위팔두갈래근은 근피신경이 담담합니다. 그러므로 어깨와 목을 꼭 함께 관리해야 재발 위험이 줄어들 것입니다.
목 관리는 이렇게 해보세요.
코어와 말단을 꾸준히 관리해서 건강을 챙겨봅니다(목과 머리)
기타자극요법
아픈 부위에 아래와 같이 침을 놓아 도울 수 있습니다.
코어와 말단을 꾸준히 관리해서 건강을 챙겨봅니다(목과 머리)
평소에 척추뼈를 지탱하는 코어(자세 유지 근육)를 꾸준히 관리하면 말초신경(우리 몸 안의 전기선)이 잘 빠져나와 전기가 잘 통하게 되어 신경이 잘 작동됩니다. 말단을 예쁘게 도우면 말단이
ykoykj06.tistory.com
수양명대장경의 한 혈인 견우혈에 침을 놓으면 근육피부신경이 지배하는 이두근이 점점 건강해질 수 있어요. 저주파기를 걸리면 2개는 있어야 전류가 통하죠. 그래서 견우혈에 함께 놓기도 하지만 수소양삼초경의 한 혈인 견료혈을 함께 하면 액와신경, 요골신경도 도와서 삼각근도, 삼두근에도, 팔 뒤편 근육들도 좋아해요. 그래서 어깨가 점점 부드러워질 거예요.
견우혈은 견봉 전하방에 폭 들어가는 자리를 찾아 침을 놓는데요. 침이 굵을수록 세포를 더 많이 새롭게 만들어주고 신경이 잘 통하게 되니 효과가 좋지만 침 맞을 때 좀 아프잖아요. 그래서 침관을 써서 0.25의 굵기에 5cm의 침으로 어깨 근육 따라 연피자법으로 피부 아래에 삼각근 따라 침을 가볍게, 자주 놓을 수 있어요. 유침은 15~30분 하면 되고요, 침용 저주파기 걸면 좀 더 효과적일 거예요. 굵기는 황두~0.20 다양하게 쓸 수 있고, 길이는 5cm~7.5cm 정도를 쓸 수 있는데요. 7.5cm 정도 쓸려면 0.30mm 이상은 돼야 앞으로 직진하기가 좋아요, 너무 얇으면 침이 잘 휘어지거든요. 참고로 견우나 견료혈은 수소음심경의 한 혈인 극천 방향으로 놓을 수도 있어요.
어깨에는 아프니까 무조건 놓고 더해서 완신경총을 울려주는 비총혈을 함께해야 해요. 신경뿌리를 함께 도와야 혈액순환이 잘 되고, 신경도 잘 통해서 통증 재발률이 낮아질 거예요. 물론 풍지혈을 함께하면 더 좋죠. 경추 1~2번부터 자세가 잘 잡혀야 아래로 영향을 줄 테니까요. 어떨 땐 저한테 경추 1,2번에 침을 놓을 때 어깨 부위의 통증이 줄어들 때가 있거든요. 백회 쪽에 견운동감각구에 침을 놓아도 어깨 통증이 줄기도 해요. 제가 아픈 데가 많아서 침을 여기저기 많이 놓아 보았네요.
어깨 관리하면서 아픈 부위에 직접뜸을 떠도 도움이 될 거예요. 힘줄은 혈관이 없어서 빨리 안 낫잖아요. 그래서 열을 보태주는 것으로 회복기간을 당길 수 있을 거예요.
마무리하며...
심각근이 있는 어깨 앞쪽에 있는 이두근 힘줄 통증과 돕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평소에 무리하지 않도록 하고, 몸을 아껴 쓰고 예쁜 자세를 애쓰고, 평소에 목에 있는 코어를 꾸준히 관리하면 어깨 통증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을 거예요. 많이 힘들 땐 침뜸으로도 나와 가족들의 건강을 도와보세요. 오늘도 평안히 보내세요~^^
이미지 출처; Michael McKinley 외, 인체 해부생리학 1(Anatomy & Physiology: An Integrative Approach, 1st Edition), 이 인모 외 공역, 수문사, 2018년, 436, 595쪽.
댓글